안녕하세요. 주자예요.
요즘 감기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특히 목감기에 걸리면 기침에 가래에 너무 힘들잖아요. 저희 집에서는 대추와 계피를 끓여서 때로는 차처럼 때로는 미온수처럼 마시는데 좋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음료 중 하나인 '수정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수정과의 역사와 효능, 그리고 쉽게 집에서 만들 수 있는 레시피까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또한, 세계 각국의 비슷한 음료와 비교해보면서 우리의 수정과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수정과의 역사
"수정과는 원래 의약용으로 사용되던 것이 일상의 음료로 널리 퍼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각종 과일과 향신료, 그리고 단맛을 내는 설탕이나 꿀이 주요 재료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수정과의 정확한 역사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이 전통적인 음료가 중세시대 조선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정과는 원래 한의학에서 사용되던 약재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특히 감기나 독감 같은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이용되었습니다. 각종 과일과 향신료, 그리고 단맛을 내는 설탕이나 꿀 등을 섞어 만든 이 음료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의약품적인 요소를 가진 수정과가 일상의 음료로 널리 퍼진 것은 조선시대 이후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겨울철에 몸을 따뜻하게 하고 건강을 돕는 음료로서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조선시대의 기준으로 보면 수정과는 만만한 음료가 아니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생강과 계피 끓인 물에 곶감을 넣어 수정과를 만들지만 예전에는 더 다양하고 풍부한 재료로 만들졌다고합니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는 청나라에서 사신이 왔을 때 접대용으로 수정과를 준비하면서 곶감이 아닌 유자로 만들었다고 하네요. 곶감이나 유자 외에도 석류, 앵두, 다래 등 여러 종류의 과일로 수정과를 만들었다는 기록도 보인 다고 합니다. 정약용도 곶감은 물론이고 배나 밤으로도 만든다고 했으니 지금의 수정과와는 개념이 많이 다르고 현대 수정과는 약소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 재료를 넣어 국물을 낸 뒤 과일과 꿀, 설탕을 첨가해 마시는 음료수의 총칭이었습니다.
수정과의 역사는 우리나라 전통 음료의 역사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생활 속의 여유를 엿볼 수 있습니다.
수정과의 효능
"수정과는 그 성분에 따라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감기 예방과 면역력 강화, 그리고 체온을 높여주는 효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겨울철에 많이 찾는 음료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수정과의 주요 성분은 과일, 향신료, 그리고 단맛을 내는 설탕이나 꿀입니다. 이들 성분은 각각 다음과 같은 효능을 가지고 있어, 전통적으로 수정과가 건강 음료로 사용되었습니다.
과일: 수정과에 사용되는 과일로는 감귤, 유자, 사과 등이 있습니다. 이들 과일은 풍부한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을 강화하고 감기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향신료: 수정과에는 생강, 계피 등의 향신료가 사용됩니다. 생강은 체온을 높여주는 효능이 있으며, 계피는 소화를 돕고, 항산화 효과가 있습니다.
설탕 또는 꿀: 이들은 단맛을 제공하는 동시에 에너지 공급원이기도 합니다. 특히 꿀은 항염 및 항박테리아 효과가 있어, 기침 완화 및 감기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이런 성분들의 조합으로 인해 수정과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건강을 돕는 음료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의 수정과와 프랑스의 뱅쇼
프랑스에서는 와인과 계피를 사용한 다양한 음료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뱅 쇼'가 있습니다.
뱅 쇼는 프랑스어로 '뜨거운 와인'을 의미하는데, 이는 주로 크리스마스 시즌에 즐기는 전통적인 음료입니다. 이 음료는 레드 와인을 기반으로 하며, 오렌지 껍질, 클로브, 계피 등의 향신료와 설탕을 더해 만듭니다. 이렇게 만든 믹스처를 끓여서 따뜻하게 마시는 것이 전통입니다.
뱅 쇼는 따뜻한 온도와 향신료의 풍미가 어우러져 몸을 따뜻하게 하고, 겨울철 감기 예방에 도움을 주는 음료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계피의 따뜻한 향과 와인의 부드러운 맛이 잘 어우러져, 아늑한 겨울 분위기를 만들어줍니다.
공통점: 우리나라의 수정과와 프랑스의 뱅 쇼는 모두 따뜻한 음료로, 특히 겨울철에 즐겨 마시는 음료입니다. 두 음료 모두 과일과 향신료를 주요 재료로 사용하며,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차이점
주요 성분: 수정과는 감귤, 생강, 계피 등을 주요 재료로 사용하며, 단맛을 내는 설탕이나 꿀을 추가합니다. 반면, 뱅 쇼는 레드 와인을 기반으로 하고, 오렌지 껍질, 클로브, 계피 등의 향신료와 설탕을 더해 만듭니다.
알코올 유무: 수정과는 알코올이 없는 비알코올 음료이지만, 뱅 쇼는 와인을 기반으로 하므로 알코올음료입니다.
문화적 배경: 수정과는 한의학에서 사용되던 약재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감기나 독감 같은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이용되었습니다. 반면, 뱅 쇼는 크리스마스 시즌에 즐기는 전통적인 음료로, 겨울철의 아늑한 분위기를 즐기는 데 이용됩니다.
이처럼 수정과와 뱅 쇼는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성분과 제조 방법, 그리고 문화적 배경 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이를 통해 각 나라의 문화와 전통이 음료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뱅 쇼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도 크리스마스 시즌에 즐겨 마시는 음료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수정과의 주재료
수정과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재료들이 들어갑니다:
과일: 과일은 수정과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감귤, 유자, 사과 등이 사용됩니다. 이들 과일은 풍부한 비타민 C와 필수 미네랄을 제공합니다.
생강: 생강은 수정과의 중요한 성분으로, 체온을 높여주고 면역력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생강은 소화를 촉진하며, 염증을 줄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계피: 계피는 향신료로서 수정과에 맛과 향을 더해줍니다. 또한, 계피는 항산화, 항염, 항균 효과가 있어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설탕 또는 꿀: 단맛을 제공하며, 에너지 공급원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꿀은 기침 완화 및 감기 치료에 도움을 주는 항염 및 항박테리아 효과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잣, 대추, 곶감 등 다양한 재료를 추가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게 맛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성분들이 조합된 수정과는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감기 예방 및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음료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정과와 비슷한 세계의 음료
"세계 각국에도 수정과와 비슷한 음료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백화탕', 일본의 '유자차', 그리고 서양의 '핫 토디' 등이 그 예입니다. 이들 음료는 각자의 문화와 특색에 따라 다양한 재료와 방법으로 만들어지지만, 결국은 향신료와 과일, 단맛을 내는 성분을 함께 사용해서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의 대표 전통 음료인 '수정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런 우리나라의 전통 음료가 세계 각국의 음료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해 보는 것도 흥미로운 경험이었습니다.
환절기 감시 수정과와 함께 건강한 겨울 보내세요.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20105/43090277/1
[윤덕노의 음식이야기]수정과
우리나라 전통음료인 수정과는 아무 때나 마시는 음료가 아니다. 예전에는 궁중이나 지체 높은 양반집에서도 새해가 시작되는 정월에나 맛볼 수 있었던 고급 음료였다. 임금이 계절 따라…
www.donga.com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8732
‘뱅쇼’ 몰라? 뜨거운 와인 음료 인기 뜨겁네! - 주간조선
겨울철 프랑스의 국민 음료 뱅쇼(vin chaud)의 인기가 한국에서도 뜨겁다. 뱅쇼는 ‘뜨거운 와인’이라는 뜻으로 와인에 과일, 계피 등을 첨가해 오랜 시간 끓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쌍화탕’처
weekly.chosun.com
서정옥의 느린부엌 느린 수정과 1L, 2개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공자와 함께 하는 건강과 건강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코초코 랄라 핫초코! 그 유래부터 맛있게 만드는 방법 (43) | 2023.11.16 |
---|---|
생강, 건강의 보물상자 (39) | 2023.11.16 |
경북 김천서 럼피스킨병 첫 발생, 백신 접종에도 불안감 확산 (22) | 2023.11.14 |
아이들의 험난한 100일, 백일해: 증상부터 예방까지 (42) | 2023.11.13 |
'3가'와 '4가' 독감 예방접종의 차이와 선택 가이드 (42) | 2023.11.13 |